벌거벗은 세계사 148회
'크레이지 트럼프 vs 슬리피 조, 미국 대선의 민낯!'
| 미국의 대통령제는 어떻게 탄생하였나?
전 세계 최초로 대통령제를 시행한 나라는 바로 미국입니다. 대통령제도가 처음 탄생한 곳이 바로 필리델피아이다. 17세기 영국은 아메리카 대륙을 점령하고 식민지배하고 있었다.
영국은 아메리카 대륙 식민지들로부터 과도한 세금 납부를 명했고 미국은 이에 반발하며 독립전쟁을 일으킨다. 그 결과 아메리카 대륙은 영국으로부터 독립 후 미국을 건국한다. 미국은 13개의 식민지가 미국이라는 신생국으로 독립하게 된 독특한 경우이다.
1787년 필라델피아 재헌 회의는 각 주의 지도자들이 모여 헌법 제정 및 미국 통치를 의논하는 자리였다. 긴 회의 끝에 통치자는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4년임을 시행했다. 그리고 통치자의 명칭은 대통령으로 정했다.
대통령 선거 시 최우선으로 정해진 규칙이 국민이 직접 선출하면 안 된다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선거의 개념이 성립되지 않았고 국민의 의무교육을 받지 못했던 시기였다. 거기에 이 시기에는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아 정보가 부족했던 상황이었다. 당시의 논리는 판단 능력이 있는 사람들만 투표를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선거인단
간접선거에서 후보를 선출하는 선거인의 모임
미국의 경우 대통령과 부통령을 선출한다.
미국 초대 대통령이자 세계 최초의 대통령은 조지 워싱턴이다.
Q. 뉴욕으로 수도를 정한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 )문제로 인해 워싱턴으로 수도를 옮기게 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주에서 서로 이익에 부합하는 곳을 수도로 하고 싶어해서 조지 워싱턴은 공평하게 중간 지점에 있는 워싱턴을 수도로 정한다.
정당
공공 이익의 실현을 목표로 정치적 견해를 같이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집단
| 미국 정당 정치를 발전 시킨 사건?! 위스키 반란
미국이 정당 정치가 발전하게 된 이유는 미국을 뒤흔든 사건 때문인데 1791년 위스키 반란 때문이다. 당시 미 서부에서는 위스키 양조업이 유행했는데 펜실베이니아에서는 위스키를 화폐로 사용할 정도였다.
조지 워싱턴 정부는 위스키에 소비세를 부과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이로 위스키 제조업자들의 세금이 갑자기 급증하게 된다. 이때 위스키 세금 부과를 강력 주장했던 인물이 바로 초대 재무장관 알렉산더 해밀턴이다.
알렉산더 해밀턴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이며 조지 워싱턴 정부의 재무장관
10달러 속 그려져 있는 주인공
당시 위스키 세금은 대규모 제조업자와 영세업자의 세금 부과 방식이 달랐는데 대량 제조업자는 고정 금액을 납부하게 하고 영세업자는 생산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했다. 이로 영세업자들은 격렬한 폭동을 일으키게 된다.
농민 위주 서부 개척자 vs 연방정부
토마스 제퍼슨
미국의 3대 대통령이자 미국 독립선언서의 기틀을 만든 2달러 속 그려져 있는 인물
연방당 | 민주공화당 |
알렉산더 해밀턴 | 토머스 제퍼슨 |
도시에 거주하는 엘리트 세력 연방정부 권력 강화 |
서부 개척민과 농촌 세력 주정부의 권력 강화 |
약 30년간 민주공화당이 대통령을 배출하며 사실상 미국은 민주공화당이 1당 체제를 유지한다. 이후 민주공화당 내에서 새로운 당을 창설한 인물이 나타나는데 앤드류 잭슨이다.
앤드류 잭슨
최초로 귀족이 아닌 이민자 가정 출신이 당선된 미국 대통령
앤드류 잭슨은 1828년 민주당을 창당했고 지금까지 200년에 가까운 역사를 이어오고있다. 앤드류 잭슨과 민주당은 극단적인 면이 있었고 이를 반대하는 인물들이 모여서 휘그당을 만든다.
1933년 창당한 휘그당은 오늘날 공화당으로 발전한다.
Q. 1960년대에 미국에서는 민주당이나 공화당 소속이 아닌, ( )가 대통령 후보로 내세워져서 화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 )는 누구일까요? 돼지 (대통령 선거 후보로 내세워진 돼지의 이름은 '피가수스')
| 미국인도 모르는 선거인단 제도?
선거 전 주별로 각 후보이 정당에서 원하는 선거인단 명부를 미리 작성한 후 유권자 투표를 진행한다.
# 선거인단 구성(From 1964년)
상원 의원 100명 + 하원 의원 435명 + 워싱턴 D.C 배정 의원 3명 = 선거인단 538명
미국 : 유권자 → 선거인단 → 대통령 = 간접선거
| 미국 대선 관전 포인트
① 엄청난 규모의 TV 광고
미국은 15분마다 광고가 나오기 때문에 TV 광고를 가장 중요한 선거 캠페인 중 하나로 평가한다. 7대 대통령 아이젠하워는 이미지 메이킹에 TV 광고를 잘 활용했던 인물이다.
Q. 아이젠하워의 텔레비전 광고는 한 유명 제작사에서 제작해 화제가 됐는데요. 과연 어디일까요? 디즈니
케네디 vs 닉스에 대선에서 만났을 때 사람들은 정치 경험이 많은 닉슨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1960년 9월 26일 케네디와 닉슨의 대선 첫 TV토론에서 케네디는 당당함을 보여주며 당선이 된다.
② 네거티브 전략
트럼프와 힐러리는 정책과 비전을 제시하기보다는 상대방을 헐뜯는 일에 집중했다. 트럼프는 토론회에서 힐러리 남편 클린턴의 성폭행을 부각하면서 여론은 트럼프에게 유리하기 작용했다.
네거티브 전략
상대 후보의 부정적이거나 반감을 살 만한 점을 부각하는 전략
③ 셀럽들의 지지 선언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인 오바마 대통령은 흑인 셀럽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오프라 윈프리이다. 오바마는 네거티브 전략보다는 스피치 능력과 유머 감각을 내세운 콘텐츠로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다.
테일러 스위프트는 지난 대선에서 조 바이든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2024년에 테일러스위프트의 말에 다시 집중하는 이유는 이번 대선에서 트럼프와 바이든이 다시 리턴매치를 하기 때문이다.
| 2024 미국 대선! 트럼프의 리스크
트럼프는 바이든을 사이코라고 비난했으면 말을 더듬으면 비아냥거렸다. 그리고 나토 회원국이 방위비를 내지 않으면 러시아의 공격을 부추기겠다는 발언을 했다.
푸틴을 지지하는 발언까지 했다. 당선이 된다면 주한 미군을 철수시키겠다고 했다. 트럼프는 현재 미국 최초로 형사 기소된 대통령이다. 재판 결과가 트럼프 지지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가 만약에 패소하여 받을 수 있는 벌금을 모두 합치면 한화 7,200억 원에 달한다. 트럼프는 기부금을 모으기 위해 애를 쓰고 있어 지지자들은 기부금이 벌금으로 사용될까 봐 기부를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 2024 미국 대선! 바이든의 리스크
바이든은 한국나이 81세의 고령으로 인한 노화 리스크가 있다. 공식행사에서 조는 모습이 찍히면서 슬리피 조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Q. 바이든은 연설을 마치고 한 이 행동 때문에 건강 이상설이 불거졌는데요. 바이든은 누구에게 악수를 청하는 걸까요? 허공에 대고 악수를 청한다.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 부탁드려요
* 인용된 사진과 문구는 해당 방송국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