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함이 불러온 재앙! 인간의 욕망이 깃든 초콜릿
| 약 3,200년 전! 초콜릿 음료를 마신 이들의 정체?
올메카 문명은 인류 최초로 초콜릿을 먹었다. 올메카 지역은 카카오나무 재배에 좋은 조건을 갖춘 메소아메리카지역이다. 이 지역은 열대우림이 발달해 고무나무가 잘 자라는데 카카오나무 역시 재배하기 좋은 조건이었다.
마야문명
기원전 1,500년부터 약 3,000년에 걸쳐 번영을 누린 문명
독자적인 문자와 발달한 수학을 바탕으로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다.
마야문명은 피라미드를 지어 제사를 지냈는데 특히 중요했던 게 바로 카카오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였다.
Q. 마야 사람들은 카카오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낼 때, 이것을 했는데요. 무엇일까요?
마야인들이 카카오의 풍년을 기원하며 행했던 인신공양
| 초콜릿은 유럽에 어떻게 전파되었나?
초콜릿 음료의 진가를 알아본 한 인물이 있었는데 스페인 출신의 에르난 코르테스였다.
에르난 코르테스(1485년~1547년)
스페인 출신의 탐험가로 멕시코 제국을 단기간에 정복한 인물
스페인은 16세기 대항해시대의 강자로 식민지를 넓히기 위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진출했다. 코르테스는 메소아메리카로 진출하는데 마야문명이 쇠퇴하고 아스테카 문명이 새로이 떠오르고 있었다.
초콜릿 음료를 처음 먹어본 코르테스는 너무 써서 별로 였지만 궁전을 돌아본 코르테스는 카카오 콩이 공식 화폐로 사용되는 엄청난 가치를 지녔다는 걸 알게 된다.
Q. 아래의 품목들은 당시 아스테카에서 카카오 콩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것들인데요. 가치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해보세요. (노예 1명 아보카도, 칠면조, 매춘)
①칠면조 ②노예 ③매춘 ④아보카도
코르테스의 서신을 받은 스페인의 왕 카를로스 1세는 아스테카의 금은보화와 카카오를 차지하기 위해 1521년 코르테스를 앞세워 전쟁을 치르고 아스테카 제국을 정복했다. 이로써 카카오는 메소아메리카 원산지에서 유럽으로 전파되기 시작한다.
| 혐오의 대상에서 상류층의 필수품이 된 초콜릿
유럽인이 초콜릿에 빠지게 된 계기는 설탕의 등장을 이루어진다. 노예무역으로 들어온 설탕은 귀족만들만 즐기던 사치품이었다. 달콤해진 초콜릿 음료에 스페인 귀족들은 열광하기 시작했다. 스페인이 초콜릿 음료를 100년 가까이 독점하던 때 유럽 전역에 초콜릿 열풍이 풀게 되는데 스페인 공주의 결혼이 계기를 만들었다.
스페인 공주 안느 도트리쉬가 프랑스 루이 13세와 결혼하면서 혼수품으로 초콜릿을 가져갔다. 이후 초콜릿은 프랑스 궁전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된다. 17~18세기 귀족들의 초상화에는 초콜릿 음료가 꼭 등장했는데 빵 15개와 맞먹는 가격이었다.
Q. 프랑스 귀족들은 OOO효과를 위해 주로 아침에 초콜릿 음료를 마셨는데요. OOO은 무엇일까요?
초콜릿 음료를 마시면 심장이 뛰어 최음제 역할을 한다고 생각
1657년 영국은 초콜릿 음료를 제공하는 '초콜릿 하우스'가 문을 열게 된다. 이전에는 왕실과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던 초콜릿 음료가 신흥 상인 자본가들과 지식인들도 즐길 수 있게 된다. 수제 초콜릿 장인들이 가게를 열면서 초콜릿 음료는 인기가 폭발하게 된다.
| 산업혁명이 만들어 낸 최초의 고체 초콜릿은?
스페인이 식민지 삼았던 메소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반항하면 산채로 불태워지거나 고문을 당하기도 했다. 원주민들의 고통으로 공급이 원활해진 카카오는 1847년 음료로만 즐기던 초콜릿은 네모난 고체형으로 탄생한다.
1849년 버밍엄 식품박람회에서 선보이며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빠르게 에너지를 채워주는 초콜릿은 아이들뿐 아니라 노동자들의 입맛도 사로잡게 된다.
유럽의 수요가 늘어나지 19세기 말 카카오나무는 중남미 지역을 벗어나 아프리카 상투메 프린시페 섬으로 이동 재배된다. 1470년 대 후반 포르투갈의 탐험가들에 의해 발견되어 식민지가 된 상투메 프린시페 섬은 당시 아프리카 노예 중계항의 요충지였다.
삼각무역이 이루어지면서 아프리카에서 카카오나무가 본격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한다. 상투메 프린시페는 아프리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카카오 재배지로 성장하게 된다.
레오폴드 2세
벨기에의 2대 국왕으로 콩고를 식민지 삼고 악행을 저지른 인물
레오폴드 2세가 벨기에의 왕이 되었을 때는 서구 열강들의 식민지 정복욕이 극심하던 시기였다. 독립한 지 37년도 안된 작은 나라에 불과했던 벨기에가 어떻게 강해질까를 생각했던 레오폴드 2세는 식민지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눈에 띄었던 나라가 바로 아프리카의 콩고였다.
레오폴드 2세는 아프리카협회를 세워 초대의장으로 활동하고 탐험가를 콩고에 파견해 현지 상황을 파악하게 했다. 그는 콩고의 지배권을 인정받기 위해 원주민 부족들과 조약을 체결한다. 계약의 의미를 잘 알지 못했던 원주민들은 모두 계약을 체결한다.
1884년 아프리카 땅을 분할하기 위한 베를린회담에서 레오폴드 2세는 조약을 근거 삼아 콩고의 단독 지배권을 인정받게 된다. 벨기에 면적의 약 75배인 콩고를 지배하게 된다.
콩고는 벨기에 소유가 아닌 레오폴드 2세 개인 사유지가 된 것이다.
| 벨기에보다 약 75배 큰 콩고가 개인 사유지?
당시 벨기에 의회는 식민지를 건설하면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반대를 했었다. 레오폴드 2세는 개인적으로 진행하여 국가가 아닌 사유지로 통치했다.
레오폴드 2세가 가장 눈독을 들인 특산품은 고무와 상아였다. 코끼리 상아는 당시 당구공과 피아노를 만드는데 쓰이는 사치품이었다. 벨기에는 원활한 정치를 위해 원주민들에게 공포심을 조장했다.
Q. 콩고인들은 벨기에 인들이 초자연적인 힘인 태양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고 믿었는데요. 무엇을 보고 그렇게 생각했을까요? 돋보기를 이용해 담뱃불 붙이는 걸 보여준 것
1891년 레오폴드 2세는 원주민의 노동력을 착취하고 상아와 고무 독점법까지 재정했다. 이후 콩고에는 고무 농장과 카카오 농장이 우후죽순으로 생기게 된다. 콩고 인들에게 아무런 대가 없이 노동력을 착취했다.
1. 정해준 할당량을 처음 채우지 못하면 채찍질을 하고 한쪽 손을 자른다.
2. 두 번째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나머지 한쪽 손을 자른다.
3. 세 번째 할당량을 채우지 못하면 손이 없어 일할 수 없으니 죽인다.
4. 죽은 사람의 할당량은 다음 사람에게 넘긴다.
레오폴드 2세의 악행으로 콩고 전역에는 시체가 산더미처럼 쌓였었다. 레오폴드 2세가 학살한 콩고인을 1,000만여 명으로 추산하기도 한다. 레오폴드 2세가 콩고인을 수탈하며 얻은 수익이 2억 2천만 프랑으로 현재가치로는 약 1조 5천억 원에 달한다.
레오폴드 2세의 잔혹한 만행은 1900년쯤부터 선교사에 의해 외부로 알려진다. 콩고의 상황이 외부에 알려지가 레오폴드 2세는 증거 인멸에 나선다.
레오폴드 2세는 자신은 몰랐던 일이라며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처벌 또한 받지 않았으며 1909년 사망했다. 콩고는 80년이 지난 1960년 되어서야 자유를 되찾을 수 있었다.
유럽에서 인기 있었던 초콜릿은 전세계로 퍼져나가게 된다. 그 계기는 1939년 발발한 제2차 세계대전이다.
① 전쟁이 만들고 발전시킨 초콜릿?
제2차 세계대전이 벌어지고 입맛과 영양을 갖춘 전투 식량을 개발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초콜릿이다.
Q. 미군의 전투 식량에 포함된 초콜릿에는 다른 초콜릿과 차별점이 있었는데요. 무엇일까요?
M&M 초콜릿
미군의 주요 전선은 연평균 기온이 30도가 넘었었고 군인들에게 필수였던 초콜릿이 잘 녹아 골칫거리였던 것이다. 그래서 초콜릿 외부를 설탕 코팅하여 잘 녹지 않도록 개발한 것이다. M&M초콜릿은 이와 같은 이유로 미군용 초콜릿 납품 업체로 선정된다.
② 히틀러가 만든 기발한 초콜릿?
히틀러는 졸음에 시달리는 조정사에게 정신이 번쩍 들게 하기 위해서 초콜릿을 먹게 했다. 히틀러는 핫식스 3캔 이상의 높은 카페인으로 각성 효과가 높았던 쇼카콜라를 만든다. 조종사들에게만 지급되었던 쇼카콜라를 병사들에게도 지급해 전투의 사기를 높이는데 이용했다.
| 현대판 노예제도가 살아있는 카카오 농장?
현재 카카오 생산의 75%를 차지하는 나라는 코트디부아르이다. 코트디부아르는 카카오를 생산하면서 부를 창출했고 이를 코트디부아르의 기적이라고 불렀다. 그러다 1980년 카카오 가격이 곤두박질치는 일이 발생했다. 이때 카카오 생산량이 늘면서 과잉공급이 일어난 것이다. 1987년 코트디부아르는 국가 파산을 선언하고 45억 달러약 5조 9천억 원)에 달하는 국가 부채를 지게 되었다.
초콜릿 기업들은 카카오를 1kg에 1.5달러라는 터무니 없는 가격을 측정했다. 카카오 농부들은 더욱 저렴하게 생산하기 위해서 임금이 저렴한 아이들을 고용하는 것이었다. 가난한 부모들은 농부에게 약 2~3만 원에 아이들을 팔았고 큰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속는 아이들도 많았다.
아이들은 하루 일당을 채우지 못하면 저녁을 굶어야 하는 상황이었다. 노동과정에서 채찍으로 맞아야 하는 일도 많이 일어난다. 부족한 인력은 인근에서 인신매매를 하기로 한다. 노예제도는 폐지되었지만 코트디부아르의 아이들은 카카오 재배 산업의 노예나 다름없는 생활을 하고 있다.
코트디부아르에서는 카카오 농장을 만들기 위해 대규모의 산림 벌채가 벌어지는 중이다. 1960년 이후로 80% 이상 열대우림이 줄어든 상황이다.
초콜릿은 누구에게는 행복을 주지만 누구에게는 자신의 살을 먹는 거 같은 기분이 들게 합니다. 앞으로 초콜릿을 먹을 때는 한번 더 생각할 거 같네요.
재미있게 보셨다면
구독 부탁드려요
* 인용된 사진과 문구는 해당 방송국에 저작권이 있습니다. *